Skip to content

우종학 Woo, Jong Hak

Yoonsoo P. Bach edited this page Mar 4, 2021 · 1 revision

홈페이지

Short CV (click)

EDUCATION

  • 1999 - 2005 : Ph.D., M.Phil., M.Sc. , Yale University (2005);
    • Ph.D. adviser: Meg Urry
  • 1996 - 1997 : M.Sc. in Astronomy,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 1989 - 1995 : B.Sc. in Astronomy,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EXPERIENCE

  • 2009 - present : Professor, Associate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at SNU
  • 2013 - 2014 : Visiting Scholar at Carnegie Observatories
  • 2008 - 2009 : Hubble Fellow at UCLA
  • 2005 - 2008 :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at UCSB
  • 2001 - 2005 : Research Assistant at Yale Center for Astronomy and Astrophysics
  • 1998 - 1999 : Research Staff at Center for Space Astrophysics Seoul, Korea
  • 1992 - 1994 : Military service, Seoul, Korea

AWARDS

  • Academic Research Award, College of Natural Science SNU, 2018
  • Academic Research Award, Korea Astronomical Society, 2017
  • Teaching Excellence Award, College of Natural Science, SNU, 2016
  • Posco Cheongam Foundation, TJ Park Science Fellowship, 2012
  • NASA, Hubble Fellowship, 2008

팀 설명

우종학 교수님 팀은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에너지원인 거대질량블랙홀들과 은하의 형성 및 진화에 대해 연구하는 거대블랙홀 연구실(AGN Research Group)입니다. 현 구성원은 우종학 교수님과 박사 후 연구원 한 분과 박사과정 2명, 석사과정 1명입니다.

거대질량블랙홀은 은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진 질량이 태양질량의 백만배 가량을 넘어가는 천체입니다. 이러한 블랙홀로 가스가 유입될 때 일어나는 현상인 활동성은하핵(AGN:Active Galactic Nucleus)은 수천억 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은하 전체의 밝기보다 열배에서 백배 가량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거대블랙홀 연구실에서는 블랙홀과 AGN, 그리고 은하의 진화과정을 밝히기 위해 허블우주 망원경, Keck 망원경, Palomar 망원경, Lick 망원경, Subaru 망원경, SALT 망원경 (The Southern African Large Telescope) 등을 비롯한 다양한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퀘이사, 세이퍼트(Seyfert) 은하, 전파 은하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희 팀은 보통 매주 팀미팅을 가지고 있습니다. 팀미팅 시간은 주로 한 사람이 연구와 관련된 논문을 리뷰하고 이에 대해 각 팀원들과 교수님이 토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또한 간단히 연구결과를 이야기하는 시간도 있어 서로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가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사진

(새탭에서 열면 크게 볼 수 있음)